[작품소개]
송수남 - 1. 장고춤 : 농악에 나오는 설장고가락을 기존의 장고춤에 가미하여 역동성과 다이나믹함을 강조했으며
국립무용단 여자단원들을 군무로 구성하여 해외에 알린 작품이다.
2. 교방춤 : 기녀가 지나온 과거의 삶과 애환을 나타낸 작품이다.
3. 열반의 환상 : 수련의 과정에서 번뇌와 잡념을 이겨내며 부터님의 열반의 경지를 맛보려하는 불교적인 작품이다.
김문숙 - 1. 대궐 : 궁녀의 삶을 그린 춤으로 일생을 궁에 갇혀 살아야 하는 운명과 한을 그린 작품이다.
2. 가사호접 : 조택원의 작품으로 수도승의 내면적 갈등을 현대적으로 안무한 작품이다.
3. 사랑가 : 춘향전의 도령과 춘향의 사랑을 2인무로 그린 작품이다.
김백봉 - 1. 부채춤 : 쌍선을 들고 추는 아름다운 춤으로 자연과 인간을 표현한 작품이다.
2. 산조(청명심수) : 김백봉의 인생을 그린 삶과 철학, 예술성이 강조된 작품이다.
3. 화관무 : 궁중의 복식과 음악에 활달하고 호방한 형식으로 안무된 신무용이다.
4. 무당춤 : 우리나라 굿에서 발췌하여 동적이고 화려한 굿의 형식을 새롭게 안무한 작품이다.
[기획의도]
급변하는 시대 뿌리에 대한 인식이 점점 희박해지는 작금의 세태를 아쉬워하며 한국무용계의 거목이신 세분 김백봉, 김문숙, 송수남의 무용세계를 재조명하여 무용계의 역사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특히 무용계의 자라나는 꿈나무들에게 원로무용가들의 삶을 아름답게 비춰줌으로써 희망을 갖도록 하고자 기획하였다.
[아티스트 소개]
신무용의 최고봉이자 현존하는 무용예술가로서의 최정상의 무용가이시며 수많은 예술적 작품과 제자를 양성한
이시대의 신무용의 산 역사이신 김백봉선생님.
학식을 갖춘 무용가이시며 타고난 외모로 근대 무용가를 대표할 수 있는 김문숙 선생님, 교수로서 논문, 저서 등이 많으며
무용작품에서 심혈을 기울인 유일무이한 석좌교수 송수남선생님. 금세기 최고의 춤꾼이자 창작무용가로 제자양성과
대중화에 앞장서는 정재만교수와 작품구성, 안무에 능한 무용가 국수호, 김백봉의 유일한 남성제자로 독특한 춤세계를
가진 무용가 지희영외 당대를 대표하는 무용가들이 총 출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