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의도]
?
국내외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댄스씨어터 창의 작품 는 현대 사회의 소외된 이들 중 장애인가족의 모습을 통해 우리 삶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나누고자 기획되었다.
?
현재 우리나라의 장애인 비율은 약 3%정도로 추정된다고 한다. 우리 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편견들은 결국 장애인을 둔 가족들이 감당해야 하는 심리적 부담으로 남는다. 장애인에 대한 거부감은 장애인가족들을 사회로부터 정서적으로 고립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그들에겐 그들을 돌봐줄 사람이 필요하고 그들에 대한 우리의 편견 속에 그 몫은 고스란히 그들 가족에게 짐 지워진다.
?
작품 는 장애인을 동생으로 두고 있는 한 청년의 이야기를 통해 장애인을 가족으로 가지고 있는 사람의 아픔, 고통, 사랑에 대한 것을 그리고, 사회로부터 고립되어있는 이들의 마음을 애잔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미 수십 차례의 공연을 통해 작품 자체의 업그레이드 뿐만 아니라 많은 관객들을 통해 검증된 이 작품은 2008-2009년 홍콩, 스위스, 벨기에, 독일, 프랑스 등 각종 해외 공연 및 페스티벌에 초청되어 한국의 현대무용 수준을 해외무대에 알리고 있다. 특히 2010년에는 러시아 PROTHEATR2010 페스티발에서 최우수작품상의 영예를 안기도 하였다.
?
2008년도 초연작인 Brother은 독일, 스위스 등의 여러 해외공연 경력을 통해서 수차례 업그레이드 된 작품으로 국내 관객들에게 발전된 작품으로 선보이는 무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
?
?
[작품내용]
?
내가 사랑하는 단 하나뿐인 동생 성국이는 장애인이다.
어려서부터 같이 뒹굴고 장난치며 커온 우리는 서로에게 가장 절친한 친구이자 형제이다.
그러나 언젠가부터 나는 그가 내 동생이란 사실이 창피하기 시작했다.
성국이를 볼 때마다 나는 알 수없는 분노를 느꼈고 이런 내 자신에 대한 실망과 동생에 대한 미안함은 곧 그를 구박하고 구타하는 행동으로 표출되곤 했다.
아무것도 모르던 시절, 나로 인해 그가 받았을 고통과 아픔들..
이제 나이가 들어 그를 바라본다.
사랑할 수밖에 없는 나의 하나뿐인 동생에 대한 이야기이다.
?
?
?
[아티스트]
?
안무가 김남진
?
과감한 안무, 거침없는 직설적인 표현력으로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주목받는 댄스씨어터 창 안무가 김남진.
1968년 부산출생으로 무용을 하기 이전 연극을 먼저 접하였다. 그 후 신체언어에 매혹되어 늦은 나이에 무용을 시작하여 한국의 여러 무용단에서 활동하다가 1995년 프랑스로 건너가 Cie Corinne lanselle, Cie Jacky Taffanel 등의 무용단에서 작업 후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프랑스 국립현대무용단(1998~2002)에 입단하였다.
그 후 현재 현대무용계의 선두주자라고 할 수 있는 벨기에로 진출하여 역시 한국인 최초로 Les ballets C de la B 무용단(2002~2006)에서 활동하였다. 빔 반데키부스(Wim vandekeybus), 오하드 나하린(Ohad naharin), 루이 호르타(Rui horta), 메기 스튜어트(Meg stuart)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벨기에 현대무용단 Les ballets C de la B의 안무가 시디 라르비 셰르카위(Sidi larbi cherkaoui)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
?
<주요 안무작>
달리는 사람들(1995), As a rolling Leaf(2001), Half(2003) Story of B (2006), The Wall(2006),
뮤지컬 공길전(2007) 햄릿(2007), 어쨌든 나는 가야한다(2007), Brother(2008) Bird(2008), 연극 원전유서(2008),
기다리는 사람들(2009) 미친 백조의 호수(2009), Bird II(2010), 두통(2010) Passivity(2010), 미친 백조의 호수 II(2010)
?
[공연평론]
형제가 함께 고전적 의미에서는 춤이라고 할 수 없는 괴로운 거친 몸짓으로 갈등과 화해를 그려냈다. 그 교류가 너무도 감동적이어서 눈물이 날 것도 같다
- 춤(2008. 2월) 평론가 김승현
?
?
강성국이 춤을 통해서 유연해지는 기적을 보여줌으로써 예술을 매개로 한 인간의 성장을 눈물겹게 보여준다
- 몸(2008. 2월) 평론가 이상일
?
?
춤으로 형상화하기 쉽지 않았을 것으로 예상했는데 안무자 김남진의 구상력과 동생역 강성국의 공이 크다
- 춤(2008. 2월) 평론가 정순영
?
?
김남진의 "Brother"은 나무 밑에서 매일 고도를 기다리던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의 두 주인공이 생각나게 하는 작품이다
- Newstage 기자 정효진
?
?
몸뚱어리의 진정성을 환기하는 김남진의 안무, 이런 유형의 진정성을 미니멀적 방식으로 표면화시켜 장애인차원에 맴돌지 않는 정서로 상승시켰다
- 몸(2008. 2월) 평론가 김채현
?
?